728x90
반응형

CS/자료구조 2

이진트리

이진 트리 순회 불과 반년전만 해도 이름만 들었지 마냥 먼곳에 있다고 생각했던 자료구조들이다. 근데 공부하면서 깨닫는 것은 뭐를 알아야 준비를 하고 공부도 하고 재밌게 문제도 풀 수 있다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코딩테스트 😱 DFS니 BFS니 하려면 일단 스택, 큐, 배열, 재귀에 대해서 알아야된다고 생각했다. 물론 그리고 지금 포스팅하는 이 이진 트리에 대해서도 좀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봤다. 이진트리란? 이진트리는 각각의 노드가 아래 자식 노드를 최대 두개를 가진 트리 자료 구조이다. 위 이미지는 위키백과 에서 가져와봤다. 깊이(depth)는 3이고 크기는 9인 이진트리이다. 1 2 3 4 5 6 7 이런식으로 구성된 트리가 있을 때 전위 표기식으로 순서를 나타내는 알고리즘을 구성해보자 코드 publ..

CS/자료구조 2022.08.10

자료구조

자료구조 자료 구조의 사전적인 의미는, 효율적인 접근 및 수정을 가능케하는 자료의 조직, 관리, 저장을 의미한다. 그래서 이 자료구조는, 데이터들의 값 모임, 데이터간 관계 들을 의미한다. 이 사전적 의미를 보니까 알고리즘과 뗄래야 뗄 수가 없는거 같다. 결국 이 선택에 따라 효율적으로 알고리즘을 설계를 할 수 있으니까 말이다. 들어가며 이 자료구조들은 당연히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각각의 자료구조는 각자의 연산과 목적에 맞춰져 있다. 단순히 알고리즘 문제들만 풀 때 자료구조를 선택한다? 답은 NO 어떠한 기능을 설계함에 있어 자료구조를 선택하는 것은 필수일 것이다. 자꾸 예를 알고리즘으로 들어서 그렇지만, 이만큼 알고리즘과 뗄래야 뗄 수가 없다는것. 자료구조가 명확해지면, 그에 따라오는 알고리즘이 반드시..

CS/자료구조 2022.08.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