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저번 포스팅의 마지막 마무리가 바로 이 에러를 찾지 못했던 것이다.

Kafka 에러를 고치게 된 시점

처음에 특정 Consumer만 consume을 못한다고 했었는데, 이는 당연 잘못된 것이었다!!!

그냥 로그를 좀 더 세세하게 찍고 검토를 더 열심히 했어야 했다!

우선 대략적으로 코드를 보면 아래와 같다.

@KafkaListener(topics = "topic", properties = {
        "spring.kafka.consumer.properties.spring.json.type.mapping=com.github.lsj8367.MessageReq"
    })
public void consumeSomething(final MessageReq req, Acknowledgment acknowledgment) {
    pushService.sendPush(req);
    acknowledgment.acknowledge();
}

일단 회사의 카프카 푸시 로직에서는 자동커밋을 사용하지 않는다.

spring kafka 에서는 enable.auto.commit=true 이라는 설정을 통해 자동으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커밋하게 만들 수 있다.

그 시간은 auto.commit.interval.ms라는 옵션을 통해 설정을 진행할 수 있다.

중복이 생기는 현상

max.poll.records로 15개를 가져온다고 가정한다. (왜냐면 내가 15개씩 가져와서 스레드 15개로 한번에 할당하고 있으니까 15개로 했다)

이제 한번의 컨슘을 통해 이 record들을 15개를 가져왔다.

잘 작업하다가 한 7개 작업을 했다(실질적인 푸시까지 완료) 아직 커밋은 일어나지 않았다. 커밋시간은 조금 더 뒤에 일어나는 상황

여기서

배치 서버에서 파티션 1개로 하니까 너무 느리게 적재되는 것 같아요 병렬처리 하게 파티션을 n개로 바꿀 필요성이 있습니다

라고 하면서 파티션을 늘리는 안이 통과되어 바로 파티션을 늘린다. (참고 - 파티션은 늘릴 수만 있고 줄일 수는 없다)


리밸런싱 시작....

이러면 8개가 아직 작업이 남았지만 컨슘이 멈추며 리밸런싱을 시작한다.

어? 커밋된게 없네 해서 이전 15개를 다시 읽어 재처리를 진행하게 된다.

지금 남은 이 8개는 중복이 아니지만, 앞서 작업했던 7개의 메시지는 다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런식으로 중복이 발생한다고 한다.

그럼 넌 뭐가 문제였는데?

나는 애초에 auto commit이 아닌 수동커밋으로 작업을 진행했다.

푸시지만 중복으로 발생되면 안되는 그런 푸시 정보이기에 수동으로 작업을 진행했다.

일단 Spring kafka의 기본값이 수동 커밋인 enable.auto.commit=false 이다.

그리고 ackMode를 설정해줄 수 있는데

ackMode는 뭐냐면 KafkaListener의 offset에 대한 commit을 어떻게 줄것인가를 설정하는 모드이다.

Spring의 기본 AckMode는 BATCH이며, 나는 manual_immidiate로 작업했다.

둘의 차이는 이미지로도 적어놨지만...

  • BATCH
    • poll() 메서드로 호출된 레코드가 모두 처리된 이후 커밋
    • 스프링 카프카 컨슈머의 AckMode 기본값
  • MANUAL_IMMEDIATE
    • Acknowledgment가 승인되면 즉시 commit

이 두가지의 차이가 있다.

에러 현상은 아무런 오류도, 로그도 찍어지지 않는데, 카프카 Producer 메세지를 발행하면 LAG로 적재되었다.

특정 토픽은 정상적으로 컨슘이 되는게 확인이 된게 너무 억울했었다.

그래서 100개를 연속으로 발행해도 LAG로 메시지가 쌓여서 처리를 못하는 현상이 발생해서 2주를 머리쥐어짰다. 😅😅😅

다른 토픽으로 받아봐도 결과가 계속 같아서 너무 짜증이 더 났었다.

카프카도 새로 설치해달라고 데브옵스분께 요청했고 그래서 이래저래 너무 힘들었다. (운이 좋았던건 dev환경의 k8s설정이 좀 이상하게 되어 다시 구성해야 되는 상황에 요청드렸던 운이 좋았다😱)

에러난 지점은...

@Slf4j
@Service
public class PushService {

    public void sendPush(final MessageReq req, Acknowledgment acknowledgment) {
        try {
            //푸시로직이 작성되어있다...
            log.info("push Success : {}", req);
        } catch (SendFailureException e) {
            log.error("push failure : {}", e.getMessage());
            //DLT 처리
        }
        acknowledgment.acknowledge();  // 에러지점
    }
}

이런식으로 예시로 푸시로직이 있다고 가정하고 이렇게 작성하면 당연히 푸시를 보내고 ack를 통해 offset을 전진시켜주었다.

이게 초반엔 되게 잘 작동했는데 새로운 예외케이스만 모르고 이대로 문제가 없는줄 알았다.

이 부분에서 문제가 되었던건 SendFailureException이 발생하지 않고 NPE나 다른 예외가 뜨게 되면 이게 메세지 처리가 안된다.

그래서 예외가 났으니 offset을 전진 안시켰기 때문에 다시 메시지에 적재 되는것이다.

일정 시간이 지나고 다시 또 똑같은 메시지를 컨슘하는 이 부분이 무한 반복하는 컨슘이 시작되는 것이다.

심지어 로그도 안찍는 현상이다.

지나가며 보던 블로그의 글들을 보며 commit은 항상 필수적으로 해줘야 한다는게 있었는데 난 당연히 commit을 무조건 하는것으로 생각한 나의 실수였다.

그러면 LAG에 고정으로 쌓여있냐? 그건 아니라는 소리다. 수치로는 n개가 적재된거로 보이겠지만 0으로 갔다가 다시 쌓였다가 할것 같은 나의 생각이다.

해결 방법

정말 간단하다. 위에서 봤을때 문제점이 무엇이었는가?

바로 offset을 무조건 전진시켜주면 끝난다!!

@Slf4j
@Service
public class PushService {

    public void sendPush(final MessageReq req, Acknowledgment acknowledgment) {
        try {
            //푸시로직이 작성되어있다...
            log.info("push Success : {}", req);
        } catch (SendFailureException e) {
            log.error("push failure : {}", e.getMessage());
            //DLT 처리
        } catch (Exception e) {
            log.error("알 수 없는 오류 발생 : {}", e.getMessage());
        }finally {
            acknowledgment.acknowledge();  // 에러지점
        }
    }
}

이렇게 무조건 commit 처리하게 해주고 저런 예외가 터졌을 경우에는 DLT (Dead Letter Topic)에 적재해주고 후속 처리를 진행하면 되겠다.

정리

무턱대고 구현할 때 좀 더 꼼꼼하게 작성하고 좀 더 테스트를 빡세게 하고 테스트 코드도 좀 더 케이스를 많이 짜려고 노력을 좀 해야겠다.

그래도 이걸 2주동안 붙잡고 있던게 결국 이런 오류들은 어려운 오류가 아닌데에서 나오는 기간이다.

아무튼 기초를 좀 더 탄탄히 하고 항상 꼼꼼하게 하자 🔥🔥🔥🔥🔥

728x90

'Spring > Kafk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Kafka 좀 더 공통 설정하기  (0) 2022.10.06
Spring Kafka Deserializer Class Not Found Exception  (2) 2022.09.16
728x90

일전에 카프카 에러 포스팅 에서

Configuration 설정을 자바 클래스에서 해주었다. 그것도 클래스별로!!

에러 포스팅과 더불어

This error handler cannot process 'SerializationException's directly; please consider configuring an 'ErrorHandlingDeserializer' in the value and/or key deserializer

이런 문구도 출력해줬었다.

근데 저 에러 포스팅을 보면서 좀 더 공통화할 수 없을까에서 찾아보다가 ErrorHandlingDeserializer 관련 검색을 해보다가 문서에서 찾게 되었던게 있는데,

기존의 설정을 이미지로 한번 가져와봤다.

그런데 이 방법을 Listener가 늘어나면 늘어날 수록 고수할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세부적인 사항 외에는 조금 다 yaml로 공통화를 할 수 있지 않을까?? 나는 SpringBoot를 사용하는데!

그래서 문서를 찾아본 결과

yaml 설정

spring:
  kafka:
    consumer:
      group-id: test
      auto-offset-reset: latest
      key-deserializer: org.apache.kafka.common.serialization.StringDeserializer
      value-deserializer: org.springframework.kafka.support.serializer.JsonDeserializer
      properties:
        spring:
          json:
            use:
              type:
                headers: false
            trusted:
              packages: '*'
    producer:
      key-serializer: org.apache.kafka.common.serialization.StringSerializer
      value-serializer: org.springframework.kafka.support.serializer.JsonSerializer

    listener:
      ack-mode: manual_immediate

    retry:
      topic:
        attempts: 2

일단 헤더로서 값을 받지 않겠다 라는것을 선언해주고

문서처럼
spring.kafka.consumer.properties.spring.json.type.mapping=메시지를 수신할 dto 풀경로

로 전역에서 여러개를 설정해주어도 되지만, 이 부분은 리스너마다 다를것이라고 생각해서 @KafkaListener마다 설정해주기로 했다.

@KafkaListener(properties={
    "max.poll.records=15", // 한 작업에 15개의 레코드를 컨슘한다.
    "spring.kafka.consumer.properties.spring.json.type.mapping=com.github.lsj8367.MessageReq"
})
public void consumeMessage(final MessageReq request, Acknowledgement ack) {
    // 메세지 처리
}

이렇게 완성하여 ConsumerConfiguration을 제거하게 되었다.

나는 Spring을 쓰는 것이 아니라 이 설정을 한번 더 추상화하여 간편하게 쓰게 해주는 Boot를 쓰게해주는데

너무 Spring처럼 쓰는게 아닌가 싶었는데, 원하는대로 잘 바꾸어 준 것 같다.

나머지로 더 전역적으로 쓸 수 있는것은 공통으로 충분히 더 빼주고 특이한 케이스만이 별도의 Configuration 클래스로 빠져서 설정해주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아직 해결하지 못한 이슈가 있는데, 특정 Topic만 특이하게 한건을 consume하고 나서부터는 consume을 더이상 하지 않는 오류가 있다.

이 부분을 얼른 해결하고 싶다.

728x90

'Spring > Kafka' 카테고리의 다른 글

Kafka Offset Commit의 중요성  (0) 2022.10.06
Spring Kafka Deserializer Class Not Found Exception  (2) 2022.09.16
728x90

모든 코드는 깃허브 에 있다.

Validation

Validation의 사전적 정의는 확인 이다.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Validation을 한다고 하면 유효성 검증,

즉, 수없이 싸우는 null과 빈 값에 대해 검증을 한다.

뭐 때에 따라서는 조건에 맞는 값이 들어와야 한다는 것도 포함이다.

유효성 검증

애초에 검증을 한다는 것을 단순하게 생각하면

스프링에서 어떤 요청이 하나 들어왔다고 치자.

@RestController
public class Hello {

    @GetMapping("/hello")
    public String hello(@RequestParam String name) {
        return "hello " + name;
    }
}

/hello?name=이름이라는 주소로 호출을 한다면 파라미터에 name값이 들어갈 것이다.

우리는 저 부분에서 name이 null이거나 빈문자열인 경우를 검증해줄 수 있다.

그래서

@GetMapping("/hello")
public String hello(@RequestParam String name) {
    if (Objects.isNull(name) || name.equals("") {
        throw new RuntimeException("이름은 빈 문자열이거나 Null일 수 없습니다.");
    }
    return "hello " + name;
}

이런식으로 RuntimeException 을 던져줄 수도 있다.

이런 하나하나를 다 해주게 된다면 코드 로직이 좀 더 뚱뚱해지고 가독성을 헤칠 수 있고

빈 문자열이나 null을 검증한다. 라는 공통적 의미가 겹치는 로직이 많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이 동작을 해줄 수 있는 편리한 라이브러리 javax.validation 을 사용하는 것이다.

의존성

검증은 javax.validation:validation-api 이 의존성을 추가하고 (버전은 명시하지 않음)

검증 API 참조는 org.hibernate.validator:hibernate-validator를 이용했다.

그러나 내가 해본 것은 Spring Boot에서 해보았기 때문에

그레이들에는 아래와 같이 설정해주었다.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org.projectlombok:lombok'
    )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org.assertj:assertj-core:3.21.0'
    )
}

어노테이션 종류

일단 검증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어노테이션을 알아보자

스크린샷 2021-12-15 오후 10 23 46

 어노테이션

예제 

 설명

 @DecimalMax

 @DecimalMax(value = "5.5")

- 소수 최대값 지정

- 같은값 허용

- null 허용

 @DecimalMin

 @DecimalMin(value = "5.5")

- 소수 최소값 지정

- 같은값 허용

- null 허용

 @Max

 @Max(value = 10)

- 정수 최대값 지정

- 같은값 허용

- null 허용

 @Min

 @Min(value = 10)

- 정수 최소값 지정 

- 같은값 허용

- null 허용

 @Digits

 @Digits(integer = 3, fraction = 2)

- interger 정수 허용 자리수 ex) 3이니까 100자리 까지허용

- fraction은 소수점 허용 자리수 ex)2니까 소수점 둘째짜리 까지 허용

- null 허용

 @Size

 @Size(min = 2, max = 4)

- 길이를 검증
- null 허용

- ex) "a" 비허용, "abcd"허용

 @NotNull

 @NotNull

 설명생략

 @Pattern

 @Pattern(regexp = "")

- 정규식에 해당하는 것만 통과

 @NotEmpty

 @NotEmpty

- null 비허용

- 길이가 0 비허용 ex) ""

 @Positive

 @Positive

- 양수만 허용

- 0 비허용 
- null 비허용

 @PositiveOrZero  @PositiveOrZero

- 양수 허용

- 0 허용
- null 비허용

 @Negative @Negative

- 음수만 허용

- 0 비허용 
- null 비허용

 @NegativeOrZero  @NegativeOrZero

- 음수만 허용

- 0 허용 
- null 비허용

 @Email  @Email(regexp = "정규식")

- 정규식따로 작성 권장 , "abc@def" 같은 케이스도 통과해버림

 @Future @Future

- 미래날짜만 허용

- 시간까지 체크는 안됨

- 멤버필드 타입 String일 경우 에러발생

- LocalDate권장 

 @FutureOrPresent @FutureOrPresent

- 미래, 현재날짜만 허용

- 시간까지 체크는 안됨

- 멤버필드 타입 String일 경우 에러.

- LocalDate권장

 @Past  @Past

 - 과거날짜만 허용

- 시간까지 체크는 안됨

- 멤버필드 타입 String일 경우 에러.

- LocalDate권장 

 @PastOrPresent

 @FutureOrPresent

 - 과거, 현재 날짜만 허용

- 시간까지 체크는 안됨

- 멤버필드 타입 String일 경우 에러.

- LocalDate권장 

이런 어노테이션들이 있다.

기본 Hibernate Test

유저 라는 클래스를 구현해놓고 null과 길이에 대한 검증만 진행하는 어노테이션을 구현해놓았다.

@Gette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User {
    @NotNull(message = "email is not null")
    private String email;

    @NotNull(message = "name is not null")
    @Size(min = 2, max = 4, message = "name must be between 2 and 4")
    private String name;

    @Min(value = 1, message = "age is more than 0")
    private int age;

    public User(final String email, final String name, final int age) {
        this.email = email;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

UserTest.java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import java.util.Set;
import javax.validation.ConstraintViolation;
import javax.validation.Validation;
import javax.validation.Validator;
import javax.validation.ValidatorFactory;
import org.junit.jupiter.api.BeforeEach;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class UserTest {

    private Validator validator;

    @BeforeEach
    void setUp() {
        ValidatorFactory validatorFactory = Validation.buildDefaultValidatorFactory();
        validator = validatorFactory.getValidator();
    }

    @Test
    void 이메일이_null일_때() {
        final User user = new User(null, "홍길동", 12);
        final Set<ConstraintViolation<User>> validate = validator.validate(user);

        assertThat(validate.stream().findFirst()
            .get().getMessage()).isEqualTo("email is not null");
    }

    @Test
    void 이름_null() {
        final User user = new User("test@email.com", null, 12);
        final Set<ConstraintViolation<User>> validate = validator.validate(user);

        assertThat(validate.stream().findFirst()
            .get().getMessage()).isEqualTo("name is not null");
    }

    @Test
    void 이름_2글자에서_4글자_사이가_아닐_때() {
        final User min = new User("test@email.com", "홍", 22);
        final User max = new User("test@email.com", "홍홍홍홍홍", 22);
        final Set<ConstraintViolation<User>> minValidate = validator.validate(min);
        final Set<ConstraintViolation<User>> maxValidate = validator.validate(max);

        assertThat(minValidate.stream().findFirst().get().getMessage()).isEqualTo("name must be between 2 and 4");

        assertThat(maxValidate.stream().findFirst()
            .get().getMessage()).isEqualTo("name must be between 2 and 4");
    }

    @Test
    void 나이_1보다_작을_때() {
        final User user = new User("test@abc.com", "lsj", 0);
        final Set<ConstraintViolation<User>> validUser = validator.validate(user);

        assertThat(validUser.stream().findFirst().get().getMessage()).isEqualTo("age is more than 0");
    }
}

이 테스트를 진행하면 hibernate가 돌아가면서 검증을 수행해주게 된다.
이 부분에서는 어떠한 예외가 던져져서 Exception 객체로 나오지는 않는다.

RestController Test

아래는 RestController로 테스트 했을 때 나오는 경우이다.

UserController.java

@Valid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검증을 시켜주었다.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클래스는 @Valid 어노테이션이 달린 인자의

검증이 실패하면 던지게 된다.

스크린샷 2021-12-15 오후 11 00 55
@RestController
public class UserController {

    @PostMapping("/user")
    public ResponseEntity<User> getUser(@Valid @RequestBody User user) {
        return ResponseEntity.ok(user);
    }
}

일단 다른 값들의 검증은 위에서 살펴보았으니 단순하게 에러를 던지는 과정만 테스트에서 보도록 하겠다.

UserControllerTest.java

@WebMvcTest(UserController.class)
@AutoConfigureMockMvc
class UserControllerTest {

    ObjectMapper objectMapper = new ObjectMapper();

    @Autowired
    private MockMvc mockMvc;

    @Test
    void 유저_검증_이메일_null() throws Exception {
        final User user = new User(null, "테스트", 34);
        mockMvc.perform(post("/user")
                .contentType(APPLICATION_JSON_VALUE)
                .content(objectMapper.writeValueAsString(user)))
            .andExpect(status().isBadRequest())
            .andDo(print());
    }

}

스크린샷 2021-12-15 오후 11 05 38

보면 email값이 null로 요청이 들어왔고 그래서 예외에는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이 던져졌다.

이럴때 이제 @ExceptionHandler를 통해 커스텀으로 예외를 구현해주면 되겠다.

커스텀으로 구현해주는 이유는 통째로 값을 내려줄 수는 있지만,

불필요한 정보와 시스템 내부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정의하여 내려주는 것이 좋다.

12-29 추가

커스텀으로 validator를 구현하여 검증을 진행해 줄 수 있다.

리스트의 경우에는 @Valid가 붙어있음에도 불구하고 유효성 검사를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렇게 해서 안에서 예외를 처리해주는 방법도 있다.

@Component
public class CustomValidator implements Validator {

    private SpringValidatorAdapter validatorAdapter;

    public CustomValidator() {
        this.validatorAdapter = new SpringValidatorAdapter(Validation.buildDefaultValidatorFactory()
            .getValidator());
    }

    @Override
    public boolean supports(final Class<?> clazz) {
        return Collection.class.isAssignableFrom(clazz);
    }

    @Override
    public void validate(final Object target, final Errors errors) {
        if (target instanceof Collection) {
            Collection collection = (Collection) target;

            for (Object object : collection) {
                validatorAdapter.validate(object, errors);
            }
        } else {
            validatorAdapter.validate(target, errors);
        }
    }
}

방법2

내가 사용한 방법인데

Controller로 넘어오는 RequestBody 객체에 리스트가 있는 경우에는 그 객체안에 List에 @Valid를 붙여준다.

@Valid
List<FormClass> formClassList;

이런식으로 붙여주고 객체 안에서 여러 변수에 유효성 체크하는 어노테이션을 넣어두면 잘 작동하게 되는데,

Controller에서는 이것을 처리해줄 것이 필요하다.

그게 바로 BindingResult 객체이다.

@PutMapping("/")
public ResponseEntity<String> update(
    @Valid @RequestBody List<FormClass> formClassList, BindingResult bindingResult) throws BindException {
    if (bindingResult.hasErrors()) {
        throw new BindException(bindingResult);
    }
}

이렇게 되게 되면 유효성 검사하고 발생된 에러들이 BindingResult 객체에 담겨있는것을 디버그모드로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그 객체가 에러를 갖고 있다면 BindException을 던져주고

나는 ExceptionHandler에서 처리를 진행해주었다.

참고

Baeldung - SpringBoot Bean Validation
Baeldung - javax Validation

728x90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Rest Docs 테스트로 문서화를 해보자!  (0) 2022.08.10
Service Layer에 대한 생각  (0) 2022.08.10
Filter, Interceptor 정리  (0) 2022.08.07
Jasypt  (0) 2022.08.07
728x90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에 정의되어있는 자바독을 읽으면

주어진 요청의 컨텍스트에서 메소드 매개변수를 인수 값으로 해석하기 위한 전략 인터페이스라고 설명되어 있다.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에는

스크린샷 2021-11-29 오후 10 09 59

이렇게 두개의 메소드가 있는데 supportsParameter()로 메소드의 매개변수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RequestBody

@RequestBody 어노테이션을 읽으려면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AbstractMessageConverterMethodArgumentResolver
AbstractMessageConverterMethodProcessor
RequestResponseBodyMethodProcessor

이순서로 확장되어있는 Resolver를 찾아보면 된다.

저번 포스팅에서 봤던 ArgumentResolver들을 포함한 RequestMappingHandlerAdapter 에서는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Composite를 주입받게 된다.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Composite에서도

맞는 ArgumentResolver를 찾아서 동작하게 하려고 하는데 27개의 리졸버중에

RequestResponseBodyMethodProcessor@RequestBody를 처리해준다.

스크린샷 2021-11-29 오후 10 24 32
public class RequestResponseBodyMethodProcessor extends AbstractMessageConverterMethodProcessor {
  @Override
    public boolean supportsParameter(MethodParameter parameter) {
        return parameter.hasParameterAnnotation(RequestBody.class);
    }
}

그리고 이제 이 객체를 바인딩 해야한다.

MessageConverter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Composite에서 메세지 컨버터를 10개중에 또 찾아내야 한다.

그거는 아래에서 설명하겠다.

스크린샷 2021-11-29 오후 10 31 17

HttpInputMessage에서 들어온 키값과 @RequestBody가 붙은 객체 인자들 값을 서로 비교해서

맞으면 매핑을 시켜주는 것 같다.

AbstractMessageConverterMethodArgumentResolver

AbstractMessageConverterMethodArgumentResolver에서 MediaType

메세지 컨버터를 맞는걸 찾는데 걸리는 컨버터는 바로 MappingJackson2HttpMessageConverter이다.

예상은 하고 있었지만 왜 저 클래스가 GenericHttpMessageConverter 인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

메소드중 위 기능을 하는 일부를 가져와보았다.

스크린샷 2021-11-29 오후 10 46 47

public abstract class AbstractMessageConverterMethodArgumentResolver implements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
  @Nullable
  protected <T> Object readWithMessageConverters(HttpInputMessage inputMessage, MethodParameter parameter,
      Type targetType) throws IOException, HttpMediaTypeNotSupportedException, HttpMessageNotReadableException {

    MediaType contentType;
    boolean noContentType = false;
    try {
      contentType = inputMessage.getHeaders().getContentType();
    }
    catch (InvalidMediaTypeException ex) {
      throw new HttpMediaTypeNotSupportedException(ex.getMessage());
    }
    if (contentType == null) {
      noContentType = true;
      contentType = MediaType.APPLICATION_OCTET_STREAM;
    }

    Class<?> contextClass = parameter.getContainingClass();
    Class<T> targetClass = (targetType instanceof Class ? (Class<T>) targetType : null);
    if (targetClass == null) {
      ResolvableType resolvableType = ResolvableType.forMethodParameter(parameter);
      targetClass = (Class<T>) resolvableType.resolve();
    }

    HttpMethod httpMethod = (inputMessage instanceof HttpRequest ? ((HttpRequest) inputMessage).getMethod() : null);
    Object body = NO_VALUE;

    EmptyBodyCheckingHttpInputMessage message;
    try {
      message = new EmptyBodyCheckingHttpInputMessage(inputMessage);

      for (HttpMessageConverter<?> converter : this.messageConverters) { //여기에 아까 말했던 Converter가 10개 들어오게 된다.
        Class<HttpMessageConverter<?>> converterType = (Class<HttpMessageConverter<?>>) converter.getClass();
        GenericHttpMessageConverter<?> genericConverter =
            (converter instanceof GenericHttpMessageConverter ? (GenericHttpMessageConverter<?>) converter : null);
        if (genericConverter != null ? genericConverter.canRead(targetType, contextClass, contentType) :
            (targetClass != null && converter.canRead(targetClass, contentType))) {
          if (message.hasBody()) { //여기가 참 조건이 성립하려면 위에서 GenericHttpMessageConverter 클래스 유형이어야 한다.
            HttpInputMessage msgToUse = //여기는 메소드 이름을 보면 body를 읽기 전,후 로 나뉘어 있어 aop동작을 하는것으로 짐작된다.
                getAdvice().beforeBodyRead(message, parameter, targetType, converterType);
            body = (genericConverter != null ? genericConverter.read(targetType, contextClass, msgToUse) :
                ((HttpMessageConverter<T>) converter).read(targetClass, msgToUse));
            body = getAdvice().afterBodyRead(body, msgToUse, parameter, targetType, converterType);
          }
          else {
            body = getAdvice().handleEmptyBody(null, message, parameter, targetType, converterType);
          }
          break;
        }
      }
    }
    catch (IOException ex) {
      throw new HttpMessageNotReadableException("I/O error while reading input message", ex, inputMessage);
    }

    if (body == NO_VALUE) {
      if (httpMethod == null || !SUPPORTED_METHODS.contains(httpMethod) ||
          (noContentType && !message.hasBody())) {
        return null;
      }
      throw new HttpMediaTypeNotSupportedException(contentType,
          getSupportedMediaTypes(targetClass != null ? targetClass : Object.class));
    }

    MediaType selectedContentType = contentType;
    Object theBody = body;
    LogFormatUtils.traceDebug(logger, traceOn -> {
      String formatted = LogFormatUtils.formatValue(theBody, !traceOn);
      return "Read \"" + selectedContentType + "\" to [" + formatted + "]";
    });

    return body;
  }
}

이렇게 해서 커맨드 객체 @RequestBody가 붙은 HelloForm유형에 맞는

데이터들을 파싱해주고 처리를 해줄 수 있게 된다.

번외로 AbstractMessageConverterMethodProcessor의 구현체는

RequestResponseBodyMethodProcessor, HttpEntityMethodProcessor 이므로

새롭게 알게된 사실인데 @RequestBody를 붙이고 싶지 않다면 HttpEntity<T>RequestEntity<T>로 매개변수를 받아주면

HttpEntityMethodProcessor가 동작하고, 가공이 조금 덜 되었지만 그래도 그안에 커맨드 객체까지 담아오는 body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정리

내 수준으로는 아직 이것밖에 이해 못했지만 그래도 얼추 디버깅으로 바짝 쫓아갈 수는 있다고 생각한다.

예전엔 이걸 봐도 어떻게 돌아가는지 무지성으로 넘기기만 했지, 자세하게 들여다 볼 실력도 안됐었다.

근데 지금은 천천히 늦지만서도 찍어보면서 어떻게 흐름이 진행되는지는 감을 익히는 것 같다.

이 부분도 자바 공부를 더 하다보면 깊게 알 수 있게 되지 않을까 싶다.

HelloController.java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api/v1")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PostMapping("/hello")
    public ResponseEntity<?> hello(@RequestBody HelloForm helloForm) {
        return ResponseEntity.ok(Map.of("message", "success","data", helloForm));
    }
}

HelloControllerTest.java

@WebMvcTest(HelloController.class)
class HelloControllerTest {

    @Autowired
    private MockMvc mockMvc;

    @Autowired
    private ObjectMapper objectMapper;

    @Test
    void test() throws Exception {
        String ss = "{\"message\": \"hello\", \"name\": \"lsj\"}";
        mockMvc.perform(post("/api/v1/hello")
                .content(ss)
                .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_VALUE))
            .andDo(print())
            .andExpect(status().isOk());
    }
}

HelloForm.java

@Getter //없으면 406에러를 발생한다. 깂을 못읽어 주입을 못해주는것 같다.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HelloForm {

    private String message;
    private String name;

    //없으면 커맨드 객체 주입 안됨
    public HelloForm(String message, String name) {
        this.message = message;
        this.name = name;
    }

}
728x90

'디버깅'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NS 토큰 에러  (0) 2022.08.10
YAML 파일을 읽어보자  (0) 2022.08.09
RequestParamMethodArgumentResolver  (0) 2022.08.09
RequestMapping 동작  (0) 2022.08.09
728x90

@RequestParam을 처리해주는 아규먼트 리졸버 = RequestParamMethodArgumentResolver

RequestParamMethodArgumentResolver는 AbstractNamedValueMethodArgumentResolver를 상속한 콘크리트 클래스고, resolveArgument를 오버라이딩 하지 않았기 때문에 AbstractNamedValueMethodArgumentResolver.resolveArgument가 호출된다.

흐름도

스크린샷 2021-11-25 오후 9 14 30

일단 흐름도는 이러하다.

어제 살펴봤던 내용은 DispatcherServlet 이전의 처리내용이었다.

스프링 MVC에 대해서 교환대라고 할 수 있는 DispatcherServlet 이 클래스가

HandlerAdapter 등..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들을 찾아서 전달을 다 해준다.

@RequestParam 이 있을 때는 당연히 매핑이 되어서 가져올것은 알았지만

없을 때 생략해도 가져오는 이것은 동작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했다.

코드부터 보자.

@Rest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hello")
    public String hello(String id, String name) {
        return id + name;
    }

    @GetMapping("/hello2")
    public String hello2(@RequestParam String id, String name) {
        return id + name;
    }

}

이러한 두개의 예시 hello, hello2를 만들었고 테스트 코드로 디버깅하는게 더 좋을것 같아서

테스트 코드로 디버깅을 진행했다.

@WebMvcTest(HelloController.class)
@AutoConfigureMockMvc
class HelloControllerTest {

    @Autowired
    private MockMvc mockMvc;

    @Test
    void hello() throws Exception {
        mockMvc.perform(get("/hello?id=lsj&name=홍길동"))
            .andDo(print())
            .andExpect(status().isOk());
    }

}

일단 돌리게 되었을 때 DispatcherServletRequestMappingHandlerAdapter를 호출하게 된다.

여기서 요청 객체를 처리하는줄 알았었는데

ArgumentResolver들 중에 해당 객체를 처리할 수 있는 Resolver 클래스를 찾는다.

스크린샷 2021-11-25 오후 9 25 03

RequestMappingHandlerAdapter의 일부 메소드인데 이 클래스가

부름을 받으면 바로 Resolver들을 추가해주는데

여기서 유심히 봐야하는 부분이 디버그로 파란줄 쳐진 부분과

//catch-all아래 2번째줄 이 두줄을 유심히 봐야하는데

여기서 내가 느낀것은 useDefaultResolution이 옵션이라고 생각하고 넘어갔다.

스크린샷 2021-11-25 오후 9 28 58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Composite

다음은 저 어댑터들을 가지고서 넘어온 파라미터를 처리해줄 수 있는 Resolver들을 찾는데

스크린샷 2021-11-25 오후 9 41 16

그것은 이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Composite에서 for문으로 찾아주게 되어있다 ❗️❗️❗️❗️

RequestParamMethodArgumentResolver

여기서 체크하는 로직이 위 이미지 RequestParamMethodArgumentResolver 이다.

보면 파라미터 어노테이션을 갖고 있는지 여부, 또는 @RequestPart를 갖고있는지 등등

분기로 판단해서 객체를 처리하려고 한다.

여기서 아까 보고 넘어갔다했던 useDefaultResolution 애가 분기문에 this.useDefaultResolution이 보이는데

이게 true라면 현재 가지고있는 매개변수의 타입대로 따라가서 값을 매핑시켜준다.

스크린샷 2021-11-25 오후 9 35 30

0번째 인자는 false, 25번째 인자는 true를 갖고있다.

정리를 해보자면

resolvers.add(new RequestParamMethodArgumentResolver(getBeanFactory(), false));
상태값이 false이면 @RequestParam이 있는 경우 매개변수 생성

resolvers.add(new RequestParamMethodArgumentResolver(getBeanFactory(), true));
상태값이 true이면 @RequestParam이 없는 경우 매개변수 생성을 하는 것

그래서 둘다 있으나 없으나 생성을 해준다.

근데 이제는 성능은 어떤게 좋냐고 묻는다면 명시적으로 @RequestParam을 붙인 객체는 0번째에서 바로

찾아서 매핑이 될것이다.

반대로 명시적으로 붙이지 않았다면?

매번 25번째에 있는 Resolver를 통해서 매핑시키게 될 것이다. 이게 단순 한개라면 모르겠지만,

여러 사용자 + 여러 스레드 + 파라미터의 갯수 세개의 조건이 셋중에 하나 또는 전부가 많아진다면

성능은 안좋아질게 훤히 보인다.

그래서 안붙여도 되지만 성능을 최적화 하려면 명시적으로 @RequestParam을 붙여주는것이 좋다.

정리

테코톡에서 디버그를 본 후에 깊게 한번 들어와서 공부를 해보려고 어제부터 탐색을 했다.

깊게 이렇게 들어와서 하나씩 보는것이 소스분석에도 도움이 되고 더 나아가서는

회사코드를 인계받을 때에도 이렇게 분석을 하면 핵심 로직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면서 동시에 이렇게 정리까지 하니 머릿속에 많이 남아서 지식으로 가져가는 것도 좋은것 같다.

공부를 이렇게 했어야 됐는데 너무 늦은건가 싶기도 하지만 꾸준한게 답인것 같다. 🔥🔥🔥

728x90

'디버깅'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NS 토큰 에러  (0) 2022.08.10
YAML 파일을 읽어보자  (0) 2022.08.09
AbstractMessageConverter  (0) 2022.08.09
RequestMapping 동작  (0) 2022.08.09
728x90

얼마만의 포스팅인지 모르겠다.

일단 바로 스타트 ❗❗❗

깃허브를 원래 올리는게 맞지만 회사 코드라서 따로 올리지는 못한다. 😥😥😥

테스트

@GetMapping에 대해서 어떻게 돌아가는지 궁금해서 무작정 실행을 시켜봤다.

image

지금 보이는 이미지는

톰캣에서 HTTP 메세지를 받아오는 구간이다.

그러니까 DispatcherServlet전에 수행되는 구간이다.

어떻게 저걸 담고있냐는

localhost:8081/swagger-ui.html 이라는 곳에서

크롬브라우저를 이용한 HTTP 통신을 하려고한다 라는 헤더를 추출한것이다.

image

여기서 api를 호출하고 GET방식으로 조회하는것 까지 확인했다.

오해했던 부분

처음에 나는 @GetMapping이 GET메소드를 만들어준다?

라고 생각했다.

HTTP 완벽 가이드를 읽으면서도 멍청하게 생각을 했다.

나는 바보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런게 아니라 HTTP 메소드에서 헤더를 보고

이러이러한 요청이 있다. 부터 시작하는 것이 웹의 동작일텐데 간과하고 있었다.

과정

이렇게 쭉 지나오면 이제 FrameworkServlet을 만나게 된다.

image

이 클래스는 추상클래스로 되어있고

이걸 구현한게 바로 DispatcherServlet이다.

image

프레임워크 서블릿의 이 메소드를 지나면서

디스패처 서블릿이 이제 해당 요청에 대한 메소드를 탐색한다.

이 때 탐색하라고 핸들러에게 넘기는데

image

그 핸들러가 바로 RequestMappingHandlerAdapter 클래스이다.

얘가 @RequestMapping에 대한 모든 요청을 받아서 매칭을 해주고

핸들러 메소드들을 쭉 지나서 마지막에는 내가 구현한 API쪽으로 넘어오게 된다.

그렇게해서 해당하는 데이터들을 가져와서 클라이언트쪽으로 가공된 알맞는 데이터들을 보내주게 된다.

정리

이렇게 깊게 찾아보는게 기억에도 훨씬 잘남고 개념 확립이 착착 되는것 같아 좋다.

문득 낮에 보던 우아한 테코톡 디버깅을 보고 그리고 순간 궁금했어서 이렇게 찾아보게 된것 같다.

암만 주저리주저리 읊고 해봤자 모르겠고

그냥 코드를 보는게 답이라고 생각한다.

728x90

'디버깅'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NS 토큰 에러  (0) 2022.08.10
YAML 파일을 읽어보자  (0) 2022.08.09
AbstractMessageConverter  (0) 2022.08.09
RequestParamMethodArgumentResolver  (0) 2022.08.09

+ Recent posts